[비즈체크=장동한 전문기자] 매년 3월초 장교수의 국제재무론(international corporate finance) 첫 강의 첫 주제를 소개합니다.
"표에서 Korea 를 대표하는 주식 5가지를 보여주고 있는데요, 어떤 주식의 주가가 젤로 높은가요?"
"태광요."
"그럼 … 태광이 대한민국에서 젤로 좋은 비즈니스일까요?"
" … (may be not)"
"한국 주식의 통상적인 액면가는 5,000원인데, 삼. 전. 은 100원, 아모레와 롯데는 500원입니다. 주식 거래 활성화를 위해 액면분할을 한 결과입니다.
…
또, 주가가 중요하지만 일일 거래량도 중요하겠죠?
…
통상 한 비즈니스의 기업가치를 평가할 때 가장 많이 쓰이는 기준이 시가총액(market capitalization value)입니다. 표에서 시. 총. 이 가장 높은 기업은 뭔가요?"
"삼. 전. 요."
"그쵸? 그래서 삼. 전. 이 대한민국에서 최고의 기업가치를 가진 비즈니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세계 최고의 고가 주식은 Warren Buffett 할아버지의 Berkshire Hathaway 주식입니다. BRK.A 한 주의 가격이 U$700,000을 넘으니 한화로 10억원 이상입니다. OMG. 장교수가 일년을 벌어 봐야 이 주식 한 주도 못 삽니다. ㅠ"
ㅎㅎ
Q. 비즈니스는 왜 하나요?
돈 벌려고.
고로 좋은 투자가 중요하다.
Q. 근데 … 돈 버는 게 쉬운가요?
Not at all!
Why not?
비즈니스엔 리스크가 많은데, 이것들이 돈 버는 데 방해가 되니까.
고로 리스크 관리가 중요하다.
결국 성공적인 비즈니스의 핵심 기능은 투자와 리스크 관리가 된다는 것인데, 좋은 투자와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를 통해 기업가치(market value of firm)를 제고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업가치 향상이 모든 비즈니스의 기본 목표 아닌가?
Q. 기업가치는 어떻게 정의할 수 있나요?
기업가치는 계속기업(going concern)이 미래에 벌어들일 현금흐름(cash flows)의 순현가(net present value)에 다름이 아니다.
기업가치를 높이려면 좋은 투자를 통해 투자수익률(rate of return)을 높여야 하고, 투자를 위한 자본 조달에 있어서도 만전을 기해야 한다. 가급적 자본비용(cost of capital)을 최소화할 수 있게끔 자기자본(equity)과 타인자본(debt)을 적절하게 조합해야 하는 것이다. 근데 … 투자 리스크를 줄이면서 좋은 투자를 하고, 자본비용을 낮추면서 자본조달을 하는 일체의 노력이 바로 리스크 관리 아닐까?
고로 성공적인 비즈니스의 핵심 기능은 투자 & 리스크 관리다.
장동한 리스크관리 전문기자(건국대학교 명예교수) dhchang@konkuk.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