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 고속도로 공사장 붕괴 =서울세종고속도로의 건설 현장에서 교량 연결작업 중 교각에 올려놓았던 상판이 무너져 내려 작업 중이던 인부 10명이 숨지거나 다쳤다. 25일 오전 9시 49분께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산평리 소재 서울세종고속도로 천안∼안성 구간 교량 건설 현장에서 교각에 올려놓았던 상판 4∼5개가 떨어져 내렸다.사진은 붕괴 현장 모습. [독자 제공/연합뉴스]

[비즈체크=이은주 기자] 현대엔지니어링이 전남 무안 아파트의 무더기 하자 사태로 대국민 사과를 한 지 불과 1년도 채 되지 않아 이번에는 고속도로 건설 현장에서 대형 붕괴사고를 일으켜 회사의 안전관리 체계에 심각한 문제가 드러났다는 비판이 거세다.

25일 오전 경기도 안성시 서울세종고속도로 건설 현장에서 교량 연결작업 중 상판이 무너져 10여 명이 숨지거나 다쳤다. 시공사인 현대엔지니어링의 현장 관리 부실과 안전불감증이 대형 참사로 이어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번 사고는 지난해 4월 전남 무안 남악신도시 '힐스테이트 오룡' 단지에서 5만여 건의 하자가 발견된 지 불과 10개월 만이다. 당시 현대엔지니어링은 대국민 사과와 함께 품질 관리 강화와 재발 방지를 약속했으나, 같은 해 10월 국토교통부의 하자 판정 건설사 순위에서도 1위를 차지해 신뢰를 잃은 바 있다.

반복되는 부실 시공과 더불어 이번에는 사상자까지 발생하면서 건설업계 안팎에서는 현대엔지니어링의 기업 이미지와 신뢰도가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사상자 발생은 회사의 이미지와 신뢰도에 치명적”이라며 “앞으로 주요 공사 수주에서도 불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더욱이 이번 사고는 현대엔지니어링이 최근 해외 사업의 공사 원가 상승과 일정 지연으로 이미 실적 부진을 겪고 있는 가운데 발생해 향후 재무 상황에 더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HDC현대산업개발과 GS건설이 각각 광주 아이파크 붕괴와 인천 검단 지하주차장 붕괴로 거액의 비용을 지불한 사례처럼, 현대엔지니어링도 막대한 비용 부담과 영업정지 등의 행정 처분에 직면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고용노동부는 이날 사고와 관련해 산업안전보건법과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에 대한 수사에 착수했다. 해당 법률에 따르면 중대재해 발생 시 시공사에 대해 영업정지 처분이 내려질 수 있다. 실제로 GS건설은 2019년 경북 안동 플랜트 공사장에서의 사망 사고로 2개월간 영업정지 처분을 받은 바 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사고 발생 직후 입장문을 통해 “소중한 생명을 잃은 피해자와 유가족분들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신속한 사고 수습과 원인 규명에 적극 협조하겠다”고 밝혔지만, 반복되는 부실 시공과 안전사고에 대한 비판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안전 관리와 품질 관리의 기본조차 지키지 못한 현대엔지니어링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엄정한 처벌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X
안성 고속도로 교량 공사장 붕괴 현장 수색작업= 25일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산평리 소재 서울세종고속도로 천안~안성구간 9공구 천용천교 건설 현장에서 교량 연결작업 중 교각에 올려놓았던 상판이 무너지는 사고가 발생해 소방대원들이 인명 수색 구조작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은주 기자 leigh86@hanmail.net